MVC 패턴
MVC패턴
디자인 패턴
MVC패턴은 디자인패턴 중 하나입니다. 디자인 패턴이란 프로그램이나 어떤 특정한 것을 개발하는 중에 발생했던 문제점들을 정리해서 상황에 따라 간편하게 적용해서 쓸 수 있는 것을 정리하여 특정한 “규약”을 통해 쉽게 쓸 수 있는 형태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다른이들과 공유를 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좀더 쉽고 깔끔하게 만들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됩니다. 이러한 방법들이 명확하지 않다면 우리는 클래스 함수들을 일일히 다 만들어야 합니다. 그 방법을 고안하기 위한 방법 중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가 그에 따른 예입니다. 나중에 유지보수하기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든 특정한 방법들을 디자인 패턴 이라고 합니다.
MVC란
-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입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를 구성할 때 그 구성 요소를 세가지의 역할로 구분한 패턴입니다.
위의 그림처럼 사용자가 controller를 조작하면 controller는 model을 통해서 데이터를 가져오고 그 정보를 바탕으로 시각적인 표현을 담당하는 View를 제어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됩니다.
01 모델, Model
- 애플리케이션의 정보, 데이터베이스, 처음정의 하는 상수, 초기화 값, 변수 등을 뜻합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의 가공을 책임지는 커포넌트를 말합니다. 이 모델은 다음과 같은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사용자가 편집하길 원하는 모든 데이털르 가지고 있어야 한다.
- 즉, 화면안의 네모박스에 글자가 표시된다면, 네모박스의 화면 위치 정보, 네모박스의 크기정보, 글자내용, 글자의 위치, 글자의 포맷 정보 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2. 뷰나 컨트롤러에 대해서 어떤 UI도 관여할 수 없다.
- 데이터 변경이 일어났을 때 모델에서 화면 UI를 직접 조정해서 수정할 수 있도록 뷰를 참조하는 내부 속성값을 가지면 안된다.
3. 변경이 일어나면, 변경에 대한 처리방법을 구현해야 한다.
- 모델의 속성 중 텍스트 정보가 변경이 된다면, 이벤트를 발생시켜 누군가에게 전달해야 하며, 누군가 모델을 변경하도록 요청하는 이벤트를 보냈을 때 이를 수신할 수 있는 처리 방법을 구현해야 합니다. 또한 모델은 재사용가능해야 하며 다른 인터페이스에서도 변하지 않아야 합니다.
02. 뷰, View
- input 텍스트, 체크박스 항목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소를 나타냅니다. 다시 말해 데이터및 객체의 입력, 그리고 보여준는 출력을 담당합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들이 볼 수 있는 화면 입니다.
1. 모델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따로 저장해서는 안된다.
- 화면에 글자를 출력하기 위해, 모델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그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임의로 저장해서는 안된다. 단순히 네모박스를 그리라는 명령을 받으면, 화면에 표시하기만 하고 그 화면을 그릴 때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지 않아야된다.
2. 모델이나 컨트롤러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을 몰라야 된다.
- 모델과 같은 자기 자신을 빼고는 다른 요소는 참조하거나 어떻게 동작하는지 않아서는 안된다.
3. 변경이 일어나면 변경통기에 대한 처리방법을 구현해야 한다.
- 모델과 같이 변경이 일어났을 때 누군가에게 변경을 알려줘야 한는 방법을 구현해야 한다.
03. 컨트롤러, Controller
- 데이터와 사용자인터페이스 요소들을 잇는 다리역할을 합니다. 즉, 사용자가 데이터를 클릭하고, 수정하는 것에 대한 “이벤트”들을 처리하는 부분을 뜻합니다. 컨트롤러 또한 다음과 같은 규칙을 이해 해야됩니다.
1. 모델이나 뷰와 같이 다른 구성요소들의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 모델이나 뷰는 서로의 존재를 모르고, 변경을 외부로 알리고, 수신하는 방법만 가지고 있는데 이를 컨트롤러가 중재하기 위해 모델과 그에 관련된 뷰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합니다.
2. 모델이나 뷰의 변경을 모니터링 해야한다.
- 모델이나 뷰의 변경 통지를 받으면 이를 해석해서 각자의 구성 요소에게 통지를 해야합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의 메인 로직은 컨트롤러가 담당하게 된다.
MVC 패턴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 비즈니스 로직과 UI로직을 분리하여 유지보수를 독립적으로 수행가능
- Model과 View가 다른 컴포넌트들에 종속되지 않아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 유연성에 유리하다
- 중복 코딩의 문제점을 제거한다.
MVC 패턴의 의의
MVC패턴은 결국 “어떻게 나눌 것인가”에 대한 해답 중 하나입니다. 어떤 특정한 역할들에 대해 역할 분담을 할 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방법 중 하나가 바로 MVC패턴이라는 것입니다.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